분류 전체보기 83

기획서 잘 쓰는 사람은 이 5가지를 꼭 점검합니다

처음 기획서를 쓰기 시작했을 때,저도 정말 막막했어요.‘이 아이디어는 정말 괜찮은데...’막상 문서로 쓰려고 하면손이 자꾸 멈추고,한참을 쓰다가 다시 지우고...그런데 어느 순간 깨달았어요.기획서를 잘 쓴다는 건말을 잘하는 게 아니라, 흐름을 잘 설계하는 거구나.그 흐름이라는 건, 사실 상대를 배려하는 방식이더라고요.그래서 오늘은 제가 실무를 하면서자주 꺼내보는 기획서 체크리스트 5가지를 공유해보려고 해요.정답이라기보다는, 실무에서 부딪히고 정리하게 된 저만의 정리 방식이에요.✅ 1. 이 기획은 왜 필요한가?기획서의 시작은 항상 이 질문이에요."이거 왜 하지?"신입 때는 좋은 아이디어가 생각나면일단 흥미롭게 풀어내려고 애썼어요.그런데 대부분의 상사나 팀원은 이런 피드백을 주더라고요.“그래서 왜 지금 해야..

기획 인사이트 2025.07.07

세제도 기획이 되나요? – ‘미순수’에서 발견한 브랜드 철학

세제를 고르다, 기획을 만나다세제를 고른다는 건 그냥 마트에서 아무거나 하나 고르면 되는 일이었습니다.그런데 어느 날, 우연히 ‘미순수’라는 브랜드를 보게 되었죠.이름이 예뻤고, 설명도 정갈했어요.하지만 그보다 제 마음을 붙잡은 건,이 브랜드가 세제를 단순한 제품이 아니라 ‘태도’로 정의하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미순수는 ‘비움’의 언어로 말합니다미순수는 성분이 많지 않습니다.오히려 적습니다.무향무색소무방부제심지어 거품도 과하지 않아요.이 브랜드는 ‘없음’을 강조합니다.많이 넣어서 기능을 과장하지 않고,꼭 필요한 것만 남기겠다는 철학이 보였습니다.기획자로서 이건 ‘단가절감’이 아니라의도적인 구조 설계라고 느껴졌습니다.덜 만들기 위해 더 고민하는, 그런 기획 말이에요.👀 미순수가 던지는 질문‘우리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7.04

플라톤이 기획자였다면, 이데아를 어디에 썼을까?

플라톤, 그리고 기획자의 구조적 사고플라톤은 기원전 4세기 아테네에서 태어난 철학자입니다.그는 소크라테스의 제자로서, 철학을 대화와 논리로 풀어가는 방식을 배웠고, 이후 ‘이데아론’을 정립하며 서양 철학의 방향을 결정지은 인물이죠. 플라톤의 대표 이론인 이데아론은 매우 독특합니다.그는 우리가 인식하는 현실은 ‘진짜’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우리가 보고 듣는 모든 것은 본질의 그림자일 뿐이며,진짜 존재는 그 이면에 있다.”는 사유는 당시로선 매우 파격적이었죠. 그는 『국가』라는 저서를 통해사회 질서와 교육, 정의, 정치 리더십에 대한 철학적 모델을 제시했습니다.이 안에서 ‘철인정치’라는 개념이 나옵니다. 즉, 지혜를 갖춘 철학자(철인)가 국가를 다스려야 한다는 주장인데요.지식 없이 권력만 갖춘 리더는 위..

얕게 아는 걸 부끄러워 마세요, 넓으면 되니까요

https://youtu.be/8hNLRxt3x1U - YouTube www.youtube.com 저는 기획을 ‘세상과 대화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대넓얕 2』는 기획자의 사고 지도를 넓혀주는 책이에요. “세상을 바라보는 프레임이 바뀌면, 그 안에서 우리가 만들어내는 콘텐츠도 달라집니다.” 단지 정보를 많이 알기 위함이 아니라, 더 정교한 질문을 던지기 위한 독서. 이 책은 그런 책입니다. 기획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이유, 여기 있습니다. #지적대화를위한넓고얕은지식 #지대넓얕 #기획자의책상 #기획하는남자 #실무교육 #기획학교 #기획인사이트 #브랜드기획 #콘텐츠기획 #사고의확장 #철학책추천 #기획자의독서

책 기록 2025.06.30

기획서는 아이디어가 아니라 “이것”을 담아야 합니다.

기획서를 쓰기 시작하면 가장 먼저 드는 생각: “정리는 안 되는데, 하고 싶은 말은 너무 많다…” 이 말, 기획 입문자라면 모두 공감하실 거예요. 1. 기획서는 ‘글쓰기’가 아니다 많은 분들이 기획서를 에세이처럼 씁니다. 하지만 기획서는 *‘나의 제안을 조직이 납득하게 만드는 설계도’*입니다. 그래서 기획서는 글 솜씨보다 흐름이 중요합니다. 읽기 좋게가 아니라, 납득되게 써야 합니다. 2. 실무에서 통하는 기획서의 3단 구성 기획서를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하다면, 다음 세 가지 단계로 나누어보세요: 3. 예시: 조직 소통 개선 아이디어 기획서예를 들어,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있다고 해볼게요. 이렇게 구성하면누가 봐도 “아, 이건 도입할만 하겠다”는 흐름이 생깁니다. 4. 실무에서 기획서는 설득의 도..

기획 인사이트 2025.06.27

사용기한 1일짜리 향수, 들어보셨나요?

✍ 우연히 마주한 ‘향기 종이’며칠 전, 일하다가 우연히 마주친 하나의 제품.“하루치 향수가 담긴 종이”라니, 순간 멈칫했습니다.‘향수는 병에 담는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떠올랐죠.하지만 이 퍼퓸페이퍼라는 아이템을 들여다보니단순한 ‘가벼운 제품’이 아니라 생각할 거리 많은 기획의 결과물이었습니다. 📌 퍼퓸페이퍼란?퍼퓸페이퍼는 향수가 담긴 얇은 종이입니다. 손바닥보다 작은 종이에 향료를 흡수시켜하루에 한 장씩, 일회성으로 사용하는 향기 아이템손목이나 목덜미에 문질러 사용하거나,편지 봉투나 다이어리에 끼워두면 은은하게 퍼지는 향기 전통적인 향수와는 전혀 다른 접근 방식.**“향기를 담는 형식 자체를 바꿨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했습니다.🌱 탄생 배경 – 향기의 새로운 소비 방식퍼퓸페이퍼가..

아이디어 노트 2025.06.25

기획자는 "이걸" 잘하는 사람이다.

https://youtu.be/zJ6vKcbiAwQ 많은 사람들이 '기획'이라는 단어에 아이디어나 전략을 떠올리지만, 실제로 시장에서 살아남는 기획자는 실행을 통해 결과를 내는 사람입니다. 이 영상은 “기획자의 실행력”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기획자가 아이디어만 던지고 끝나서는 안 되는 이유를 짚어주는 콘텐츠입니다. #기획자의생각 #실행하는기획자 #브랜드기획#기획실무 #기획브이로그 #기획은실행이다#기획자의일상 #기획학교 #기획자의책상 #실무기획

EP 19. “이것” 빠진 기획은 팔리지 않는다

상품을 기획할 때, 가장 먼저 던져야 할 질문이 있습니다.바로 이거예요.“이 제품은 누구를 위한 제품인가요?”이 질문이 빠지면,기획은 추상적이고 제품은 무의미해집니다.❌ 너무 넓은 타깃은 누구도 만족시키지 못합니다“20~40대 여성이라면 누구나”“요즘은 다들 민감성 피부니까”“MZ세대는 디자인 좋아해”이런 기획은 흔하지만, 실제로는 아무도 정확히 겨냥하지 못합니다.마치… 활을 쏘는데 과녁이 안 보이는 것과 같아요.✅ 타깃은 좁을수록 선명해집니다기획은 정밀할수록 강해집니다.예를 들어 이런 사람을 상상해볼게요.이름: 민지나이: 34세직장인 / 오전 7시에 일어나 출근민감성 피부, 아침마다 시간에 쫓김기초 화장품을 간소화하고 싶어함→ 이 타깃을 위한 제품은“5분 안에 끝내는 저자극 올인원 루틴”메시지도 선명하..

기획 인사이트 2025.06.20

모든 걸 신경 쓰면 모든 걸 잃어버립니다

『신경 끄기의 기술』 리뷰 – 당신은 무엇에 집중하고 있습니까? “신경을 끄는 게 무책임한 게 아니다.오히려, 책임감 있는 선택이다.” 이 책의 핵심은 단순합니다.모든 것에 신경 쓰지 말고, 정말 중요한 것에만 집중하라.하지만 그 단순함을 실천하는 건 꽤 어려운 일입니다. 1. 우리는 왜 불필요한 것에 신경을 쓰는가?SNS, 비교, 타인의 시선, 완벽주의, 불안…우리는 끝없이 외부 자극에 반응하며 삽니다.기획자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내가 만든 콘텐츠에 몇 명이 반응했는지,경쟁 브랜드는 뭘 하고 있는지,직장 내 평가, 시장의 피드백…결국 우리 뇌는 과부하에 시달리고,정작 의미 있는 기획을 할 시간과 에너지를 잃어버립니다. 2. 중요한 것에 신경 쓰는 기술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

책 기록 2025.06.18

기획서 문장, 어떻게 써야 할까?

250616_기획서 문장, 어떻게 써야 할까?기획서가 ‘읽히지 않는다’는 피드백,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글이 복잡하다’, ‘말은 많은데 핵심이 없다’,혹은 ‘읽어도 뭘 하자는 건지 모르겠다’는 말들.이유는 단순합니다. **기획서의 문장 구조가 설득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1. 기획자는 ‘말 잘하는 사람’보다 ‘글 잘 쓰는 사람’회의 때 말은 잘하는데,막상 기획서를 보면 정리가 안 돼 있는 경우 많죠.기획자는 결국 문서로 설득하고,그 문서를 통해 누군가를 움직여야 해요.즉, **기획자의 문장은 곧 설득의 도구**입니다. ---## 2. 좋은 기획서 문장의 3가지 원칙**1. 주제 중심으로 쓸 것**→ 문장은 ‘무엇이 중요한가’를 중심으로 써야 합니다.**2. 군더더기 없이 쓸 것**→ ..

기획 인사이트 2025.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