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인사이트

기획서 문장, 어떻게 써야 할까?

creatordesk 2025. 6. 16. 13:30
반응형

250616_기획서 문장, 어떻게 써야 할까?

기획서가 ‘읽히지 않는다’는 피드백,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글이 복잡하다’, ‘말은 많은데 핵심이 없다’,

혹은 ‘읽어도 뭘 하자는 건지 모르겠다’는 말들.

이유는 단순합니다.

 

**기획서의 문장 구조가 설득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

## 1. 기획자는 ‘말 잘하는 사람’보다 ‘글 잘 쓰는 사람’

회의 때 말은 잘하는데,

막상 기획서를 보면 정리가 안 돼 있는 경우 많죠.

기획자는 결국 문서로 설득하고,

그 문서를 통해 누군가를 움직여야 해요.

즉, **기획자의 문장은 곧 설득의 도구**입니다.

 

---

## 2. 좋은 기획서 문장의 3가지 원칙

**1. 주제 중심으로 쓸 것**

→ 문장은 ‘무엇이 중요한가’를 중심으로 써야 합니다.

**2. 군더더기 없이 쓸 것**

→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같은 모호한 표현, 버리세요.

**3. 행동을 유도하는 동사로 쓸 것**

→ ‘예상된다’가 아니라 ‘상승시킨다’, ‘개선한다’로 표현하세요.

---

## 3. 나쁜 문장 vs 좋은 문장 예시

**❌ 나쁜 예시**

“이 아이디어는 긍정적인 사용자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너무 길고, 동사가 흐리며, 숫자가 없음

 

**✅ 좋은 예시**

“이 아이디어는 신규 가입자의 리텐션을 20% 증가시킵니다.”

� 주어, 수치, 동사 모두 명확

---

## 4. 기획서 문장의 추천 패턴

 

- “~을 통해 … 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상황은 …이며, 이에 따라 …을 제안합니다”

- “…을 목표로 …을 실행합니다”

- “A와 B를 비교 분석한 결과, C 전략을 채택합니다”

� 이런 패턴을 익히면 **기획서의 문장이 ‘실행 가능’하게** 바뀝니다.

---

 

## 5. 마지막으로: 문장에는 힘이 있어야 한다

기획서 한 줄의 문장이

누군가의 시간과 돈을 움직일 수 있어야 해요.

그래서 **기획자의 문장은 ‘책임지는 문장’**이 되어야 합니다.

그 문장이 실행을 부르고, 프로젝트를 현실로 만듭니다.

---

 

### 다음 편 예고

다음 주에는

� **‘기획서의 실행력’ — 기획이 실제로 움직이게 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를 다뤄볼게요.

---

#기획하는남자 #기획자의책상 #실무교육 #기획학교 #기획서작성법 #기획문장 #기획입문 #기획글쓰기

#사회초년생기획 #기획자는설득자 #기획노트 #문장력 #브랜딩기획 #콘텐츠기획 #기획자되는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