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인사이트

EP.2 기획의 종류

creatordesk 2024. 12. 2. 14:01
반응형

기본 기획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면, 그 때부터는 각 분야에 맞춰서 기획을 진행하면 된다. 각 업무 분야에 따라 기획의 방향이나 방식도 다른 양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떤 기획을 하고 싶은지 정하고 가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다.

기획의 종류를 큰 범주로 한 번 나열을 해보면 아래와 같다.

 

 

개발 분야의 기획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분야의 기획은 아이디어 구현에 대한 기획인 경우가 많다. 신제품 출시나 기존 제품의 리뉴얼, 품질과 제품디자인에 대한 기획내용이 많다. 개발 분야는 단순히 R&D의 영역이 아니라 디자인, 원료나 재질에 대한 기획도 이루어지고 있다.

 

마케팅의 콘텐츠 기획

카피라이팅을 근본으로 하는 기획을 많이 진행하는 마케팅 콘텐츠 기획은 Market + ing 의 본질을 말한다. 우리는 시장에서 세일즈와 판매촉진을 위한 마케팅을 위해 홍보 위주의 콘텐츠를 만든다. 브랜딩 또한 결국 마케팅의 일부이며 다른 경쟁사과 경쟁제품과 얼마나 다른가에 대한 호소를 하기도 하는 기획이다.

 

영상 분야의 기획

단순한 콘텐츠를 넘어서 시간의 개념까지 움직여야 하는 영상 분야의 기획은 마케팅 영역보다 조금 더 다른 양상이다. 콘티, 시놉시스, 스토리보드 등 여러가지 기획안을 만들어 내고 모델이나 구도, 영상의 톤앤매너나 무드까지 동시에 잡아내야 하는 타임리소스의 기획이기 때문에 매력적인 기획이고 요새는 모든 것을 영상으로 담아내기 떄문에 많은 기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업 분야의 기획
모든 기업의 비즈니스의 기본인 영업은 영업만의 기획이 존재한다. 온라인 영업과 오프라인 영업으로 나뉘지만 공통적으로 영업 기획은 얼마나 더 매력적인 판매를 촉진시킬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매출과도 연결되어 조금 더 프레임이 구체화 되어 있는 문서 기획이나 프로모션 기획을 만들어내고 있다.

 

 

서비스 분야의 기획
소비자들의 편의와 니즈 분석 등을 위한 서비스는 브랜드의 이미지와도 직결되어 있는 기획을 많이 하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레이아웃과 동선 기획까지도 하며 매대 기획까지 총체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서비스 분야의 기획은 기업에게도 중요한 기획 중 하나이다.

 

IT 분야의 기획
이제는 AI와 로봇 자동화, UI, UX는 일상생활에서 기본 분야로 자리잡았다. 그렇기 때문에 IT 기획은 구조와 체류, 시스템과 프로그램 위주의 기획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복잡한 것을 더 심플하게, 심리적인 요소를 가미한 편안함과 가독성 개선 등등의 기획,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는 유저 친화적인 부분을 많이 고려하는 기획이다.

 

전략 기획

비즈니스 전체적인 비전과 미션에 부합하는 전략을 운영하는 기획도 존재한다. 전략 기획은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해당 비즈니스의 성향과 모델에 맞추어서 운영을 기획하는 업무이다. 플랫폼 비즈니스와 공유 비즈니스가 결이 다르듯 결에 맞우서 전략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운영할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는 기획 업무이다.

 

 

이 외에도 더 많은 분야에 따른 기획이 존재하지만 기본 기획의 방법론은 같다. 내가 어떤 카테고리와 필드에서 움직일지 정한다면 기본 기획의 재료를 가지고 맛있는 분야별 기획을 만들어내는 요리사가 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