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인사이트

EP .10 마케터 기획 업무 #1

creatordesk 2025. 1. 20. 12:40
반응형

브랜드 매니저로 일을 하면서 마케팅 업무도 같이 겸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마케터들의 기획 업무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마케터들이 주로 하는 기획은 소비자 니즈에 맞는 마케팅 컨셉 기획과 콘텐츠 기획이 많습니다. 기획이 업무의 거의 대부분인데요. 마케팅 컨셉에 대해서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저는 개발과 마케팅, 유통까지 다 아우르다 보니 컨셉도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제품을 개발 할 때에는 제품 컨셉이 있고, 마케팅에서는 타깃 소비자들을 위한 마케팅 컨셉이 따로 있어요.

마케팅 컨셉은 크게 3가지를 고려해야 하는데 오늘은 그 첫 번째를 이야기 해볼께요.

첫 번째, “소비자 기준의 언어입니다. 제품 컨셉을 마케팅 컨셉이라고 착각하는 업체들이나 일부 사람들이 있어요. 마케팅에 있어서는 제품 컨셉을 그대로 이용하면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 수 없습니다.

마케팅 컨셉에 제일 중요한 것은 소비자들도 알고 있는 단어나 어휘 사용이겠습니다. 아무리 좋다고 전문용어를 쓰고 논문을 펼쳐도 사람들은 모릅니다.

예를 들어 외장하드의 장점이 암호화가 좋다고 합시다. 그럼 2가지 홍보 방법이 있습니다.

1.     국제기관에서도 쓰는 동일한 AES-256 하드웨어 암호화로 최고 수준의 데이터 보호 기술력

2.     나만의 사적인 데이터도 안심하고 보관하는 강력한 데이터 보호 기술

혹시 어떤게 더 괜찮아 보이시나요? 1번의 경우는 뭔가 엄청난 기술력으로 느껴지고 하지만 조금은 어렵게 느껴지고 와닿지 않는 느낌입니다. 반면에 2번 같은 경우에는 조금 더 쉽고 소비자 관점에서 쓰려고 노력했지요.

핵심은 아이템의 장점을 쓰더라도 타깃 소비자를 고려한 컨셉을 잡아야 합니다. 그게 마케팅 컨셉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여러 브랜드에서 아이템 이름과 별개로 별칭을 짓거나 특별한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려는 노력들도 다 이런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기획 #기획자 #기획인사이트 #기획학교 #마케터기획 #마케터업무 #브랜드매니저 #소비자언어 #마케팅컨셉

반응형